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역전과 국내 증시 영향

by J-story 2022. 3. 24.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국채 10년 물과 2년 물의 금리 차이가 역전되는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 이는 미국 나스닥 기준으로 경기 침체 시작 징후라고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예고드린 대로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 역전이 발생하였을 때 과연 국내 증시는 어떠하였는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역전 

미국 국채 10년물과 2년 물 금리 차이가 역전(마이너스)되었던 해는 약 4차례 정도 있었다고 설명드렸었습니다. 1987년, 1990년, 2000년 및 2007년에 있었고요. 그때마다 미국 나스닥 지수도 함께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줬었습니다.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 역전
출처 : FRED

 

국내 증시 영향

국내 코스피 증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금리역전이 있었던 4개 연도를 살펴보면 1987년도를 제외하고 국내 증시도 마찬가지도 하락하는 경향이 더 큼을 알 수 있습니다. 

 

코스피 연도별 추이
코스피 추이

 

1990년도의 경우 1992년까지 약 3년간 지수가 하락하였고요. 종전 연도인 1989년의 종합주가 지수 918 대비 1992년의 지수는 585로 약 37%가량 하락하였습니다. 물론 당시 미국 국채 금리 역전을 제외하고도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악재가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2000년의 경우도 위와 비슷합니다. 1999년 대비 2003년까지 하락하며 종합주가 지수는 806에서 679로 하락하였습니다. 다만 위보다 양호한 약 15% 주가가 하락하였네요. 

 

2007년의 경우 2009년까지 약 2년간 하락하였으며 하락 정도는 2007년 종합주가 지수 1700에서 2009년 1429로 약 16% 정도 하락한 수치 입니다. 

 

결론 

요약하자면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 드린 것과 같이 미국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이 되었을 때 미국 주가지수(나스닥)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국내 증시 영향도 살펴보았을 때 비록 한 번의 예외(1987년도)가 있었지만 국내 증시 또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2~3년 정도 국내 증시가 계속해서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됐다입니다. 

 

모두 안전한 투자 하시길 바라면서 오늘 포스팅도 이만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댓글